(앵커)
폐플라스틱 재생공장에서
50대 노동자가 숨진
안타까운 사연을 전해드렸는데요.
사고 예방에도 취약하고,
강한 처벌에서도 벗어난
영세 사업장의
노동안전 현실을 그대로 보여줬습니다.
노동계는 중대재해법 개정을 촉구했습니다.
이다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진 폐플라스틱 재생공장.
지난해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고 김재순씨가
산업재해로 사망한 이후
고용노동청의 전수조사 과정에서
안전 설비를 개선했습니다.
설비에는 비상 스위치가 설치됐고,
폐 플라스틱 투입구도 높였습니다.
(인터뷰) 노동청 관계자 (음성변조)
"안전조치 안 된 것들은 조치를 했어요. 비상 스위치라든지. 그 투입구가 높이가 낮(은데) 80cm인데 1m 이상으로 높여라 그래서 높이는 그 작업도 했고요. 개선을 했어요."
하지만 안타까운 참변을 막지 못했습니다.
숨진 장씨가 홀로 일하다 변을 당해
안전 장치를 쓸 겨를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노동청 조사 결과 사고 당시 주변에는
다른 노동자 2명이 더 있었지만
각자 흩어져 작업 중이어서
아무도 장씨를 도와줄 수 없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차하는 순간 노동자는 죽음으로 내몰렸지만,
사업주는 중대재해법이 시행되더라도
이 법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5인 미만 사업장이기 때문인데
노동계는 법 개정을 재차 요구했습니다.
김선양 / 고 김재순 씨 아버지
"법 제정을 보고 분노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왜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차별받아야합니까."
예방도, 강력한 처벌도 어려운
5인 미만 사업장이
안전 사각지대로 남지 않으려면
우선 정부가 지원을 통해
시설 개선을 유도하는 등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이다현입니다.
폐플라스틱 재생공장에서
50대 노동자가 숨진
안타까운 사연을 전해드렸는데요.
사고 예방에도 취약하고,
강한 처벌에서도 벗어난
영세 사업장의
노동안전 현실을 그대로 보여줬습니다.
노동계는 중대재해법 개정을 촉구했습니다.
이다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진 폐플라스틱 재생공장.
지난해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고 김재순씨가
산업재해로 사망한 이후
고용노동청의 전수조사 과정에서
안전 설비를 개선했습니다.
설비에는 비상 스위치가 설치됐고,
폐 플라스틱 투입구도 높였습니다.
(인터뷰) 노동청 관계자 (음성변조)
"안전조치 안 된 것들은 조치를 했어요. 비상 스위치라든지. 그 투입구가 높이가 낮(은데) 80cm인데 1m 이상으로 높여라 그래서 높이는 그 작업도 했고요. 개선을 했어요."
하지만 안타까운 참변을 막지 못했습니다.
숨진 장씨가 홀로 일하다 변을 당해
안전 장치를 쓸 겨를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노동청 조사 결과 사고 당시 주변에는
다른 노동자 2명이 더 있었지만
각자 흩어져 작업 중이어서
아무도 장씨를 도와줄 수 없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차하는 순간 노동자는 죽음으로 내몰렸지만,
사업주는 중대재해법이 시행되더라도
이 법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5인 미만 사업장이기 때문인데
노동계는 법 개정을 재차 요구했습니다.
김선양 / 고 김재순 씨 아버지
"법 제정을 보고 분노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왜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차별받아야합니까."
예방도, 강력한 처벌도 어려운
5인 미만 사업장이
안전 사각지대로 남지 않으려면
우선 정부가 지원을 통해
시설 개선을 유도하는 등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이다현입니다.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