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광주 신세계백화점과 이마트 광주점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확진자가 발생한 사실을
성실히 알리지 않거나
추가 감염자가 나온 뒤에야
영업을 중단했습니다.
코로나 유행 초기,
확진자가 방문하기만 해도
영업장을 폐쇄했던 것과는 다른 모습입니다.
우종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광주 신세계백화점 2층 잡화 매장에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영업을 일시중단 한다는 안내가 붙었습니다.
이 매장의 직원인 기아차 확진자 직원
가족이 감염됐기 때문입니다.
신세계백화점 광주점은
지난 29일 직원의 남편이 확진자가 되자
매장 영업을 중단하고
동료 직원 30여 명을 퇴근시켰지만,
다른 매장과 다른 층의 영업은 계속 했습니다.
(녹취)신세계백화점 광주점 관계자/
"(영업 중단 구역) 크고 작고 문제가 아니라 그쪽(확진자 발생 매장)이 위험 지역이라고 저희는 어느 정도 선제적으로 빨리 판단해서 그 직원들을 빨리 검사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추가 확진자가 나오고도 영업을 중단하지 않은
대형마트도 있습니다.
이마트 광주점은 지난달 28일
직원인 광주 676번째 확진자가 나온 이후,
다음날 동료 1명이 추가 확진됐지만
영업을 계속 하다가
이튿날에서야 임시 휴업을 결정했습니다.
이 지점에선 모두 4명의 직원이 확진됐습니다.
(CG) 이마트 측은 마스크를 쓰고 있었고
감염 우려가 없어
영업을 계속했다는 입장인데,//
고객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인터뷰) 서용호/ 북구 각화동
"전체적으로 방역을 실시해야 되지 않을까 싶네요. 그러고 나서 이제 정상적으로 운영하든지 이런 부분으로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시민들이 많이 찾는 유통업체의 뒤늦은 조치는
확진자가 나오자 조업을 중단한
기아차, 삼성전자 등 공장과 다르고,
코로나 유행 초기와도 시기적으로 대비됩니다.
광주에 코로나가 처음 유행하던
지난 2월 홈플러스 계림점은
확진자가 방문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사흘간 영업을 중단했었고,
같은 시기 롯데백화점 별관 주차장도
확진자 동선에 포함돼
방역당국이 폐쇄 조치했었습니다.
방역당국은 코로나 대응 경험이 축적되며
추가 감염 우려가 없으면
전체 영업을 중단하진 않는다고 말합니다.
(녹취) 박 향 광주시 복지건강국장/
"최근에는 저희들의 위험도 평가를 한 결과와 상관없이 기업 자체에서 스스로 영업중단을 하거나 가동 중단을 한 사례는 있습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업체
직원에서 확진자가 나오고
뒤늦은 조치로 추가 감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과거와 달리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어
방역당국과 유통업체의 긴장감이
느슨해진 건 아닌지 우려가 나옵니다.
MBC 뉴스 우종훈입니다.
2020-12-02

◀ANC▶ 광주 신세계가 광천동에 대규모 부지를 매입한 지 1년이 지났지만 아직 뚜렷한 개발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상업시설로 개발할 경우 주변 교통 문제등 민간한 현안들이 많기 때문에 어떻게 처리되느냐가 초미의 관심삽니다. 이재원 기잡니다. ◀END▶ ◀VCR▶ 광주 신세계가 지난해 1월 260억원에 매입한 부지입니다. 8천 6백여 제곱미터, 즉 2천 6백평 규모의 금싸라기 땅은 현재 주차장으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변에서는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지만 신세계측은 아직 뚜렷한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산의 센텀시티같은 대규모 복합 문화 공간을 조성하는게 신세계로서는 최선이지만 부지가 지나치게 협소하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따라서 백화점.마트와 연결할 수 있는 개발 계획을 세워야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또 다른 걸림돌이 있습니다. (스탠드 업) 마트와 신세계가 새롭게 구입한 부지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도로입니다. 이 도로 때문에 신세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도로를 그대로 둔채 지상 부분만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을 찾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INT▶ 또, 교통의 요지에 대규모 복합 시설이 들어설 경우 유발되는 교통량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쉽지 않아 어떻게 개발이 될지 지역 사회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201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