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프로축구 광주FC는
시민들의 혈세로 운영되는 시민구단입니다.
그런 만큼 깨끗하고 투명하게
운영돼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한 것 같습니다//
사무국 직원들이
하지도 않은 시간외근무와 휴일근무를
한 것처럼 조작해
수당을 받고 있다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이재원 기잡니다.
(기자)
광주FC 한 간부 직원의 시간외 근무 현황입니다.
사무국 운영을 총괄하는 이 간부는
2018년 2월에만
34시간 동안 시간외근무를 했습니다.
그리고 16시간동안 휴일근무를 한 것으로
신청했습니다.
이렇게 이 간부 직원이 신청한
시간외근무와
휴일 근무는 매달 34시간과 16시간 남짓.
월급 이외에 한달에
백만원이 넘는 수당을 수령하고 있습니다.
함께 근무하는 사무국 직원들도 대부분
34시간의 시간외근무와
16시간의 휴일 근무를 신청하고 있습니다.
(싱크)광주FC 관계자.
"실제로는 일을 더 하는 경우가 많다...적게
신청하는 것이다. 원정 한 번 가면..."
그런데 수상한 점이 눈에 띕니다.
출근 시간 없이 퇴근 시간만 기록되어 있는데도
시간외근무로 인정됐고,
출.퇴근 기록이 아예 없는데도
휴일근무 수당이 나가기도 했습니다.
내부 직원은 실제 근무하지도 않으면서
시간외와 휴일 근무 수당을
신청했기 때문이라는 충격적인 증언을 털어
놓았습니다.
사무국장의 출퇴근 카드를
다른 팀장이 따로 관리하며
근무 시간을 조작했다는 것입니다.
대리 이상 간부 직원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근무 시간을 조작했다는 증언도 이어졌습니다.
(싱크) 내부 관계자(음성 대역)
"팀장이 사무국장의 키를 갖고 있어서 대신 찍어주고...관행적으로 올리고 있다.."
이에 대해 광주FC측은
근태 관리가 체계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무 특성에 따라 출퇴근 기록 없이
업무가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며
부당 수령은 없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싱크)광주FC 관계자.
"간부 직원들이 일을 더 많이 하는 구조.."
광주시가 광주FC에 지원하는 예산은
올해 75억원.
이 가운데 매달 7백만원 남짓,
1년이면 7천만원이 넘는 예산이
사무국 직원의 시간외와
휴일 근무 수당으로 지출되고 있습니다.
MBC News 이재원
2020-08-03

(앵커)
학교비정규직 노조가
열악한 처우를 개선해 달라며
시도 교육청과
임금 교섭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근속수당 인상 등의 문제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노조측은 다음주까지 교섭이 타결되지 않으면
총파업을 불사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송정근 기자입니다.
(기자)
7년째 광주의 한 초등학교에서
비정규직 조리사로 일을 하고 있는
43살 김해정 씨.
하루 8시간씩 주 5일을 일해
최저임금 수준인 월 160만원의
기본급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 월급조차도 방학이 되면
일감이 없기 때문에 받을 수가 없습니다.
(인터뷰)김해정/학교 조리사
"방학 동안에는 근무를 하지 않고 그러다 보니까 이제 급여가 아예 없는 상태에서 아르바이트를 뛰고 계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은 상황이에요."
광주의 한 문화회관에서 18년째
시설관리 실무사로 일하고 있는
47살 하승태 씨도 최저임금을 조금 넘는
수준의 기본금을 받고 있습니다.
공무원과 같은 일을 하고 있지만
근속수당 등 각종 수당에서 차별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하승태/시설관리 실무사
"동일한 근무를 하고 동일한 노동을 함에도 공무원들은 우리가 받지 않고 있는 기술 정보 수당이나 위험수당을 받고 있습니다."
학교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는 노동자들이
이런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을 상대로 지난 9월부터
임금교섭을 벌이고 있습니다.
(스탠드업)
특히 이번 교섭의 쟁점은 기본급과
근속수당 단계적 인상안인데
이 두가지 쟁점에 대해서
노사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CG)노조는 기본급 5% 인상과
2022년까지 근속수당을
5만원으로 올려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청은 기본급은 2.6% 인상,
그리고 근속수당은 인상 불가라는 안을
제시했습니다.//
(인터뷰)한연임/학교비정규직 노조 광주지부장
"기본급 인상하고 어찌 됐든 근속 수당 오천 원만 더 인상해 달라는 게 저희들의 요구입니다. 최종적으로는 어찌 됐든 그런 상황인데 아예 못해준다는 거죠."
지난달부터 파업 찬반투표를 벌여 92% 가량이 찬성표를 던진 학교 비정규직 노조는
이번달 15일까지 사측이 답을 제시하지 않으면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광주 전남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중 85% 가량인
9천명 정도가 노조에 가입해 있는 상황에서
교섭 결과가 어떻게 될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MBC뉴스 송정근입니다.

여러분은 연휴에 수당이 있다면 일을 하실 건가요?
광주시민에게 물었더니 10명중 6명이 '그렇다'라고 답했습니다.
이유가 뭘까요?1위는 명절 스트레스를 받느니 일을 하는 게 나아서 입니다. 2위는 휴일에라도 돈을 벌어야 해서고요. 3위는 설이 특별하지 않아서입니다. 4위 업무 특성상 해야 해서 였습니다.
가족과 휴일보다 돈을 택하게 만든 스트레스는 어떤 게 있을까요?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은 차례상 등 지나친 살림이었습니다. 이어 지긋지긋한 귀성길, 잔소리 또는 친척간 비교 등 있습니다.
반면 설이 기다려지는 이유도 있습니다. 온 가족이 함께해서가 가장 많았습니다. 그 다음으로 황금휴가,명절 보너스 순이었습니다.
명절 차례를 전통에 맞게 지내는 가정은 얼마나 될까요? 30% 밖에 되지 않습니다. 70%는 구색만 갖추거나 가족 식사에 신경쓰고 있습니다.
전통 명절의 의미는 조금씩 사라지는 대신에,설이나 추석이 가족과 함께 하는 황금연휴로 자리를 잡아가는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카드뉴스///
2016-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