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분양전환이 이뤄지는 임대아파트에서
분양가를 둘러싼 갈등이 끊이지 않습니다.
10년된 아파트 값을
왜 지금 시세로 받느냐는 게
입주민들이 반발하는 이유인데요.
해법을 찾아달라는 목소리를
정부와 정치권은 몇년째 외면하고 있습니다.
문형철 기자입니다.
◀기자 리포트▶
서울에 있는 부영 본사 앞에서
시민들이 현수막을 들고 집회를 벌입니다.
--- Effect --- "인하하라! 인하하라!"
분양전환 절차가 진행 중인
여수 웅천지구 임대아파트 입주민들이
분양가 인하를 요구하는 겁니다.
[C/G 1] 부영 측이 통보한 분양전환 가격은
전용면적 84㎡ 기준 2억 9천여만 원.///
[C/G 2 - 투명] 인근에 새롭게 짓고 있는
부영의 분양 아파트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INT▶
"이제 신규 분양한 아파트하고 분양 가격이
똑같다. 자재부터가 다른데..."
[C/G 3] 부영 측은, 인근 아파트 시세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감정가가 낮게 책정돼 자신들도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며, 주민들의 분양가
인하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
그러나 시위에 나선 입주민들은
부영이 임대주택의 공공성을 외면한 채
폭리를 취하려 한다며 반발의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INT▶
"나라에서 도움을 받아서 서민을 위해 짓는
것처럼 해놓고, 분양할 때는 전혀 서민하고는
상관이 없는..."
의무 임대기간이 10년인 아파트는
인근 시세 등을 반영한 감정평가액을 기초로
분양전환 가격을 정하게 됩니다.
여수 웅천지구와 같이
전반적으로 집값이 크게 상승한 경우에는
평가액도 높아져 사업자는 큰 수익을 얻는 대신
입주민들의 부담은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다 보니
지난해 여수 죽림지구 부영아파트 분양전환
과정에서도 고분양가 논란이 불거졌고,
최근 광주에서는
분양가가 2년 전보다 4천만 원 가까이 뛰면서
입주민들이 반발하는 등
부영 임대주택을 둘러싼 갈등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SYN▶
"현재까지 아무런 부영 측의 답이 없고...
(내집 마련의) 희망을 갖고 있었는데, 또
기회가 박탈되지 않을까 너무나 상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10년 공공임대주택도
5년 공공임대주택과 마찬가지로
건설원가를 반영해 분양가를 책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수년 전부터 나왔지만,
제도는 여전히 그대로입니다.
◀INT▶
"모든 정당에서 공약을 했지만, 정부도 손을
놓고 있고, 국회에서도 입법을 안 하고 있는
사이에 무주택 서민들만 높은 분양전환 가격에
몸살을 앓고 있는 거죠."
이와 관련된 법 개정안이
지난 7월 국회에 발의된 상황.
지역에서도 앞으로 분양전환이 추진될
임대아파트가 적지 않아
신속한 논의와 제도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 NEWS 문형철입니다.
2020-11-03

(앵커)
분양 전환을 앞둔
광주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입주민들이 집단 반발하고 있습니다
건설사가 너무 높은 분양가를 제시해 놓고,
분양을 받을지 말지
사나흘 안에 결정하라고
다그치고 있다는 겁니다.
이다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어둠이 내려 앉은 아파트 단지 안 광장에
마스크를 쓴 주민 수백 명이 모였습니다.
주변엔 '미친 분양가'
'주민이 호구냐' 같은
격한 내용의 현수막이 걸렸습니다.
발단은 지난 월요일,
부영측이 주민들에게 보낸 통지서입니다.
지난 2013년 아파트를 임대 공급한 부영은
감정평가를 바탕으로
105제곱미터를 기준으로
2억9천여만 원의 분양전환가를 제시했습니다.
2년 전 분양 전환을 추진했을 때는
분양가가 이보다 4천만원 정도 낮았습니다.
(CG)입주민들은 당시 평가액이 적게 나오자
분양 전환을 중단했던 부영측이
아파트 가격 상승을 틈 타
임차인들을 울리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아파트 주민
"(재)작년에 나온 가격은 그런대로 적정하다고 생각했는데, 2년 만에 3-4천 올라버렸어요. 이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또 벽에 곰팡이가 피고, 물이 새는 등
수많은 하자가
감정평가에는 반영되지 않았다고도 했습니다.
분양전환 여부를 당장 결정하라는 식의
추진 방식도 주민들의 원성을 샀습니다.
주민들이 감정평가 금액과 신청 기간 등을
안내 받은 건 지난 월요일.
신청 마감까지 불과
이틀 밖에 남지 않은 시점이었습니다.
분양을 받을지 말지,
받는다면 자금은 어떻게 마련할지 고민하기엔
너무 촉박한 기간입니다.
(인터뷰) 이완수 / 부영아파트 비상대책위원장
"임차인들은 지금 가진 돈이 없어요. 그러면 금융권에 대출 받으려면 알아봐야 하고, 지인들에게 빌리려면 알아봐야 하고. 3-4일 가지고 어떻게 하겠습니까."
부영건설 측은 이번에 제시한 분양전환가가
주변 시세보다
많게는 1억 원 이상 낮다고 반박했습니다.
또 지난 6월에 이미 분양 전환에 대해
입주민들에게 안내했다고 밝혔지만
당시에는 가격을 제시하지는 않았습니다.
MBC뉴스 이다현입니다.
2020-10-14

광주지역 아파트 매매 가격이
급등세를 보인 가운데
신규 분양가 역시 크게 상승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작년 12월 광주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제곱미터당 328만 4천 원으로
재작년 같은기간보다 38만 7천원이 올랐습니다.
광주의 아파트 분양가는
재작년말 3.3제곱미터당 9백 50만원선이었다가
작년 하반기부터
천만원선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기존 아파트 매매가가 고공행진을 하고있는데다
건축비도 상승하는 상황이어서
신규 분양가 역시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