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최근 지역 예술계에선
화풍을 아예 바꾼
어느 중견작가의 변신이 화제였습니다.
그 변신 만큼이나 주목받았던 사람이
1년 간 작가를 아낌없이 지원해온
박헌택 영무토건 대표였는데요.
복합문화공간 '김냇과'를 만들어 운영하고,
지역 예술계에 후원을 아끼지 않는
박헌택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
제가 지금 있는 이 곳, 김냇과를 만든 분이죠.
박헌택 영무토건 대표와 함께합니다.
대표님, 안녕하세요!
------------------------------------------
질문 1)
구름화가 로 유명한
강운 작가가 최근에 화풍을 완전 바꿨습니다.
대표님이 적극 지원하신 걸로 아는데요.
------------------------------------------
질문 2)
실례가 안된다면 어떤 지원이었는지
좀 더 여쭤봐도 될까요?
------------------------------------------
질문 3)
건설회사 대표님이신데,
하신 일들을 보면
지역 문화예술계 쪽 일이 많습니다.
예술 쪽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으세요?
------------------------------------------
질문 4)
기업이 어느정도 성장을 하면,
지역성은 희미해지기 마련인데요.
이렇게 지역 예술계를
계속 후원하는 이유가 있나요?
===========================================
질문 5)
예술계를 지원하면서..
그동안 죽 해오셨으니까요.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였을까요?
-------------------------------------------
질문 6)
대인동 김냇과 에 이어서,
양동에도 김냇과가 들어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 공간은 어떤 공간이 될까요?
===========================================
(마무리 인사)
* 영상 - 김영범
2020-10-23

(앵커)
코로나 상황에서
자주 보게 되는 이들은
방역 최전선에 있는 사람들일 겁니다.
광주시 박향 복지건강국장도
익숙한 분들 많으실텐데요.
30년 전 의사 대신 공무원의 길을 선택해
메르스, 코로나 등 각종 감염병 상황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그의 이야기..
직접 들어봤습니다.
==========================================
코로나 상황이 전달되는 이곳,
브리핑 룸에서
박향 시 복지건강국장님과 만나봅니다.
국장님 안녕하세요~
===========================================
질문 1)
사회적 거리두기가 오랜만에 1단계로
접어들었는데,
요즘은 어떤 고민을 하고 계십니까?
답변 1)
요즘 고민하고 있는 복지 건강 관련 사항들
===========================================
질문 2)
광주시민 10명 중 1명은
코로나 진단 검사를 받았다는
내용을 봤는데요.
타 시도보다 높은 비율이라고요.
이런 수치는 어떻게 봐야겠습니까?
답변 1)
선제적 검사의 결과..
-------------------------------------------
질문 3)
올해 복지건강국장으로 발령받고 나서,
두 차례 코로나 지역 대유행이 지났죠.
괴롭든, 기쁘든,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이십니까?
답변 3)
집단 감염이 일어난 곳들에 대해
===========================================
질문 4)
시민들 중에는 국장님을
광주시의 정은경 총장이다, 이렇게 이야기도
하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변 4)
-----------------------------------------
질문 5)
그럼 국장님께선
공무원을 직업으로 선택한, 계기가 있을까요?
+
다시 그 시절, 90년대 초반으로 돌아가도
선택에 변화는 없을까요?
===========================================
질문 6)
끝으로 시민들께도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실 것 같습니다.
답변 9)
===========================================
(마무리 인사)
* 영상 - 이정현
2020-10-16

(앵커)
요즘의 지역 방언은
우리말을 풍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특색있는 언어로 인식되고 있는데요.
전라도 방언으로 트로트를 부르며,
전남을 알리는
청년 농부가 연일 화젭니다.
무안 농부이자 1인 방송인,
박주안 씨의 이야기 들어봤습니다.
==========================================
방송하는 농부, 농수로 박주안 님과
만나봅니다. 안녕하세요~~
===========================================
질문 1)
농사일 하랴, 방송하랴 바쁘시겠어요.
요즘 인기 실감하고 계십니까?
------------------------------------------
질문 2)
'니가 왜 거그서 나와~'도 재미있게 봤는데요.
사투리로 트로트를 부르게 된
이유가 있습니까?
-------------------------------------------
질문 3)
전라도청에서도 마스크를 쓰자는
홍보 노래에 참여하신 걸로 아는데
거긴 어떻게 참여하신 거에요?
-------------------------------------------
질문 4)
가사는 직접 바꾸시는 걸로 알고 있는데,
어떤 부분에 특히 신경을 쓰시는지?
+ 혹시 MBC 노래도 사투리로 가능하십니까?
(만나면 좋은친구, MBC 문화방송)
============================================
질문 5)
처음부터 농사일을 하신 건지,
아니라면 왜 농사를 지어야겠다고
생각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질문 7)
농사도 짓고 개인 방송도 하는 삶을
꿈꾸는 청년들이 늘고 있습니다.
선배로써 한마디 해주신다면요?
===========================================
질문 8)
농부로써, 그리고 방송 쪽으로도
앞으로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
(마무리 인사)
꿈을 향해 나아가는 청년 농부의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영상취재 - 강성우
영상출처 - 으뜸전남튜브
- 농수로
2020-10-09

(앵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올해 신년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성과가 눈에 보이는 해'를 목표로 시민들에 한걸음 더 다가서는 문화 플랫폼이 되겠다는 각오인데요. 이미지 뉴스리포터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이진식 전당장에게 구체적인 계획을 들어봤습니다.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인사) ========================================== 질문 1) 2019년은 성과가 눈에 보이는 해를 만들겠다 하셨는데요. 올 해는 어떤 계획을 가지고 계십니까? 답변 1) 4개 정책방향 간단히 소개 ------------------------------------------- 질문 2) 그동안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다채로운 공연이나 전시를 선보이기도 했지만, 킬러 콘텐츠가 없다는 지적이 많았었죠? 답변 2) 올해 계획하고 계신 킬러 콘텐츠 소개해 주세요 ------------------------------------------ 질문 3) 지역 주민이나 문화계와 소통하기 위해서 고민하고 계신 방안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3) 시민, 지역 문화계와의 협력 강화 방안 ------------------------------------------- 질문 4) 국제적인 문화예술 교류도 많이 해왔는데, 올해도 활발하게 진행 되나요? 답변 4) 문화전당-아시아대사관 문화제 등 국제문화예술 교류 계획 ------------------------------------------- 질문 5) 알겠습니다. 이밖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올해 차별화된 사업은 무엇인가요? 답변 5) 올해 차별화된 사업 ========================================== 알겠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인사)
2019-01-18

(앵커) 우리 지역에는 '호모 시네마쿠스'라는 별명을 가진, 유명한 영화광이 있습니다. 광주독립영화관의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는 조대영 씬데요. 최근 조대영씨의 영화평을 묶은 책 '영화,롭다'가 발간됐습니다. 이미지 뉴스리포터가 만나고 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인사) ------------------------------------------- 질문 1) 방 안에 굉장히 많은 영화비디오 테잎들이 있네요. 여기 몇 개가 있는 건가요? ( 개) 언제부터 이렇게 영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셨어요? 답변 1) 영화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된 계기...30" ------------------------------------------- 질문 2) 우리 지역에서는 영화광으로도 많이 알려지신 편인데, 이렇게 영화를 좋아하게 된 이유가 있으세요? 답변 2) ...30" =========================================== 질문 3) 그동안 썼던 영화평들을 묶어서 이번에 낸 책이 '영화, 롭다' 죠. 무슨 뜻인가요? 답변 3) ..30" ------------------------------------------- 질문 4) 책 말미에 당해 최고의 영화 10편을 선정하기도 하셨는데, 이 중에서 가장 마음에 남은 영화를 소개해주신다면, 어떤 영화인가요? 답변 4) =========================================== 질문 5) 영화인으로써 다양한 활동을 하셨는데, 앞으로의 목표는 무엇입니까? 답변 5) '호모시네마쿠스' 조대영의 목표는 =========================================== 알겠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인사)
2019-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