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요즘 해상케이블카 덕분에
인기를 얻고 있는 목포 고하도는
많은 역사를 간직한 곳이기도 합니다.
목포시는 고하도를 역사와 문화, 관광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종합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박영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리포트▶
재배지 옆으로 목화문화관과 온실이 문을
열었습니다.
국내에서 유일한 목화체험장입니다.
섬이었다가 이제 육지로 변한 고하도가
한반도 목화 재배의 발상지임을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INT▶박용규/박향심*관광객*
"새롭기도 하고 또 즐겁기도 하고 어린시절 생각도 나고 그래서 좋은 것 같아요 "
이순신 장군이 108일간 머물며 왜적의 침입에
대비했던 곳.
일제강점기에는 서해항로요충지로 10여 개의
인공 해안동굴이 뚫리고,
소년 범죄자 갱생시설인 감화원이 설치되는 등
아픈 침탈의 흔적도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C/G]고하도에는 해상케이블카,해안데크,
목화체험장에 이어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이순신 역사유적공원 등 크고 작은 사업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목포시는 사업들이 분산돼 있고,다른 기관과의 연계 필요성이 큰 만큼 새틀을 짜기로
했습니다.
시민 의견수렴,용역과 자문단 운영 등을 통해 고하도 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종합
계획을 만들겠다는 겁니다.
◀INT▶노기창*목포시 기획예산과장*
"현재 연계성이 다소 부족하고 산발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런 개별적 사업들에 대해 경쟁력을 분석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조화롭고 통일된 콘셉트로 개발되도록 올해 11월에 용역을 착수해 종합개발계획이 내년 5월 중에 수립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역사, 문화, 안전, 관광이 공존하는
공간 구성이 핵심입니다.
특히 내년 윤곽이 드러날 종합 계획에 고민
많은 공생원 부지 활용 방안과
리조트 같은 민간 자본 휴양 시설의
배치 그림이 어떻게 그려질 지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박영훈입니다
2020-10-30

(앵커)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장흥 선학동 마을은
가을 무렵이면 순백의 메밀꽃으로
뒤덮입니다.
이청준, 한승원, 이승우 등
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들을
배출해낸 곳이기도 한데요.
오늘은 정수정 여행작가와
장흥으로 떠나보시죠.
작가님 안녕하세요~ (앵커, 출연진 인사)
===========================================
질문 1)
작가들이 많이 난 마을,
선학동으로 가볼텐데요.
지금 메밀꽃이 만개했다고요?
답변 1)
네, 위에서 내려다보면 새하얗고,
조금만 시선을 낮추면 연녹색 꽃대 덕분에
싱그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곳.
선학동은 지금 메밀꽃이 한창입니다.
선학동 마을이 유명해진 건, 임권택 감독의 영화 '천년학'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부터였는데요. 관광객이 몰리면서 마을 주민들이 볼거리를 좀 더 조성해야겠다고 느끼고. 봄에는 유채꽃, 가을에는 메밀꽃을 심어 여행객들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
질문 2)
선학동 마을 메밀꽃밭이 꽤 넓을 텐데
빠뜨리지 않고 둘러보시라고
추천할만한 곳이 있나요?
답변 2)
사진찍기도 너무 좋고, 걷기도 좋죠~
우선 득량만이나 공지산을 배경으로 하면 인생사진을 남길 수도 있고요. 메밀꽃밭 한 가운데 원두막이 설치돼 있는데.. 이곳을 특히 추천 드립니다
좀 걷고 싶다 하시면, 여행객들을 위해
꽃밭 사이로 탐방로가 조성돼있어요.
이청준 작가의 작품을 설명한 표지판도 보시고,
요즘 최수종 하희라 부부가 머물다 간 집이
게스트 하우스로 운영되고 있는데요. 같이 둘러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질문 3)
선학동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문학작품.. 이청준의 '선학동 나그네'입니다.
소설에서 선학동은 어떻게
그려지나요?
답변 3)
선학동 나그네는 소리꾼 아버지와 이복 남매의 기구한 운명을 그린 소설이죠. 배경이 되는 선학동 마을은 전통적인 삶, 한의 정서를 잘 표현했는데요.
이청준 작가는 사실 선학동 마을의 이웃마을, 진목리 출신입니다. 바로 이 진목리에서 보면 선학동 마을이, 학이 날개를 펴서 마을을 감싸고 있는 모양새라고 하고요.
작품 속에서는 "포구에 물이 차오르면 관음봉은 그래 한 마리의 학으로 물 위를 떠돌았다." 이런 구절이 있는데요. 여기서 관음봉은 공지산 을 말하고요. 작품에서 나오는 주막은 지금 영화 세트장으로 구현이 돼 있습니다.
------------------------------------------
질문 4)
선학동 출신 작가들의 생가나,
흔적들을 살펴볼 수 있는 곳도 있나요?
답변 4)
선학동에서 차로 10분 가면 이청준 생가, 이청준 문학자리 라는 비석과 문학지도. 단편소설 눈길에 나오는 오솔길 (4.5km) 문학탐방로..
+ 한승원, 이승우 등 흔적도 있는지 보완..
==========================================
질문 5)
메밀꽃은 언제까지 볼 수 있나요?
답변 5)
보통 메밀꽃이 9월 중순부터 10월 초까지 꽃이 피잖아요. 서리가 내리면 꽃이 지는데,
선학동에선 10월 중순까지도 만개한 메밀꽃을
볼수 있습니다.
선학동 마을은 육지에서 가장 늦게까지 메밀꽃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니까요. 둘러보시기 바랍니다.
===========================================
(앵커 마무리 인사)
2020-10-15



국립공원 무등산 서석대가
해맞이 명소로 선정됐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무등 서석대와 태백산 천제단,
월악산 옥순봉을
해맞이 명소로 선정해 발표했습니다
무등산 서석대는
자연과 시간이 빚어낸
주상절리의 신비로움과 함께
새해 희망을 기원할 수 있는 곳으로,
정상에 오르지 않아도
중머리재와 장불재에서도 해맞이가 가능하다고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밝혔습니다.

광주 대인예술시장이
문화체육관광부가 뽑는
'2018 한국관광의 별'에 선정됐습니다.
광주지역 관광 콘텐츠가
국내 최고 권위인
'한국관광의 별'로 선정된 건 이번이 처음으로
대인예술시장은 10 개 부문 중
관광연계 시장 부문에 선정됐습니다.
전남에서는 보성 제암산 자연휴양림이
열린자원 부문에 선정됐고
진도 토요민속여행이 전통자원,
여수시가 관광기여 지자체 부문에
각각 선정됐습니다

2018 광주비엔날레 '상상된 경계들'이66 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하고 폐막했습니다.광주비엔날레재단은 2018 광주비엔날레가 총 31만 8천여명의 관람객을 동원해 지난 2016 년 행사보다 20% 가량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비엔날레관과 문화전당, 옛 국군통합병원 등 광주 곳곳에 43개국 작가의 작품 3백여점을 설치해"주제를 다각도에서 해석하면서도 전체적 완성도가 흐트러지지 않았다"는 등다양한 외신의 호평을 받았습니다.


매운맛을 타파하러 왔다!!!
아는 사람은 다 안다는 조대 맛집 '길거리야'
고추바게트 1,2,3단계 모두 도전~!
소수컵흘 워터파크도 모두 개장ㅎ~~~~!!!
어라? 스텝이 절로 밟혀,,, 어깨춤이 막 나왛ㅎㅎㅎ
얼씨구야 길거리야~
